
웹 개발 뿐만 아니라, Android 와 iOS 앱 개발도 가능한, 문제해결능력에 강한 3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입니다.
이메일. [email protected]
연락처. 010-3369-0594
개발블로그. https://velog.io/@beanlove97
깃허브. https://github.com/eunjeong-97
React.js 를 통한 웹 개발뿐만 아니라, React Native를 통해 Android와 iOS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크로스플랫폼 앱 개발이 가능합니다. 필요한 경우, 각 네이티브 환경에서 Android의 Java(Kotlin)과 iOS의 Objective-C(Swift) 언어를 사용한 간단한 UI 개발을 경험했으며, 이를 React Native와 연동하여 모듈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.
생소한 환경에서도 개발을 두려워하지 않으며, 개발 도중 발생한 오류를 단순히 라이브러리로 해결하는 것을 넘어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데 강점이 있습니다.
마일벌스 서비스와 관련된 홈페이지, 앱, 어드민 개발 전반적으로 담당했습니다.
㈜트루스트체인, 서울특별시 마포구 (2022.03 - 2024.10)
2023.08 - 2024.10
구글 애드몹을 통해 수익 창출 가능성을 확인한 후, 유저가 광고를 시청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오퍼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광고사의 오퍼월 SDK를 연동하여 추가적인 수익 구조를 구축하였습니다.
연동한 SDK 광고업체: TNK, Tapjoy, Avatye, 모또, Adiscope
광고 업체에서 제공하는 Java(Kotlin), Objective-c(Swift) 언어로 작성된 SDK연동 가이드에 따라 간단한 UI 작업을 하는 NativeModule을 만든 경험이 있습니다.
<aside> 💡
Native Module
React Native에서는 네이티브(Android/iOS)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JavaScript와 네이티브 코드(Android의 Java/Kotlin, iOS의 Objective-C/Swift)를 연결하는 네이티브 모듈을 개발할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JavaScript 코드에서 네이티브 기능을 호출할 수 있도록 구현했습니다.
</aside>
각 광고사의 SDK를 연동할 때 의존성으로 추가하는 라이브러리의 버전 충돌이 있었는데, 앱 스토어에 배포하기 전이나, 배포한 뒤에 각 디바이스별로 런타임에 오류가 발생할 때 어려움이 있었습니다. 동일한 오류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Android와 iOS의 에러 로그를 바탕으로 오류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찾으며 문제를 해결하려 했습니다.

2023.01 - 2023.07

2022.09 - 2022.12